외장 SSD 분리 후 데스크탑에서 활용 가능할까?

반응형
반응형

외장 SSD 분리 후 데스크탑에서 활용
외장 SSD 분리 후 데스크탑에서 활용

외장 SSD를 내장 SSD처럼 사용할 수 있을까?

외장 SSD를 사용하다 보면 케이스가 고장 나거나, 더 빠른 속도로 사용하고 싶어질 때가 있습니다. 이럴 때 많은 사람들이 궁금해하는 것이 바로 "외장 SSD를 분리해서 데스크탑이나 노트북에 내장형으로 사용할 수 있을까?"라는 질문입니다. 일반 외장 HDD의 경우 케이스에서 분리하면 일반적인 2.5인치 HDD처럼 보이며, 이를 데스크탑에 내장해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외장 SSD도 동일한 방식으로 활용이 가능할까요? 이번 글에서는 외장 SSD를 분리하여 데스크탑에서 내장형 SSD처럼 활용할 수 있는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외장 SSD의 내부 구조

 

외장 SSD를 분해해 보면 내부에는 어떤 부품들이 있을까요? 일반적으로 외장 SSD는 내장형 SSD와 크게 다르지 않지만, USB 연결을 위한 컨트롤러가 추가되어 있습니다. 그렇다면 외장 SSD의 내부 구조를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1.1 NAND 플래시 메모리

NAND 플래시 메모리는 SSD의 핵심 부품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는 역할을 합니다. 대부분의 외장 SSD는 고속 읽기/쓰기가 가능한 TLC 또는 QLC 타입의 NAND 플래시를 사용합니다. 일부 고급형 모델은 MLC NAND를 사용하여 성능과 내구성을 높이기도 합니다.

1.2 컨트롤러 칩셋

컨트롤러는 SSD의 두뇌 역할을 하는 칩셋으로, 데이터 전송 속도와 안정성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내장 SSD의 컨트롤러와 동일한 역할을 하지만, 외장 SSD의 경우 USB 인터페이스에 맞게 설계된 컨트롤러를 사용합니다. 이는 USB 3.2, USB 4.0 또는 Thunderbolt 3/4 같은 인터페이스와 호환되도록 최적화됩니다.

1.3 DRAM 캐시 (일부 모델)

일부 고급형 외장 SSD는 DRAM 캐시를 포함하여 데이터를 더욱 빠르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합니다. DRAM 캐시는 자주 사용하는 데이터를 저장하여 성능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하지만, 보급형 외장 SSD는 비용 절감을 위해 DRAM 캐시를 생략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1.4 USB to NVMe 또는 SATA 변환 칩

외장 SSD 내부에는 USB to SATA 또는 USB to NVMe 변환 칩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칩은 SSD의 데이터를 USB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송할 수 있도록 변환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이 칩이 내장된 SSD는 데스크탑이나 노트북에 직접 연결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1.5 보호 케이스 및 냉각 설계

외장 SSD는 내부의 열을 효과적으로 발산하기 위해 알루미늄 케이스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또한, 방수 및 충격 보호 기능이 있는 모델도 존재하여, 이동 중 데이터 보호에 유리합니다.

결론적으로, 외장 SSD는 기본적으로 내장 SSD와 유사한 구조를 가지고 있지만, USB 연결을 위한 컨트롤러가 추가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외장 SSD를 내장 SSD로 변환하여 사용하려면 USB 변환 칩이 분리 가능한 모델인지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노트북 성능을 향상시키는 5가지 필수 팁

2. 외장 SSD를 분리해서 사용할 수 있을까?

 

외장 SSD를 사용하다 보면 "이걸 분리해서 데스크탑이나 노트북의 내장 SSD로 활용할 수 있을까?"라는 의문이 들 수 있습니다. 일반 외장 HDD는 쉽게 분리하여 내장형으로 사용할 수 있지만, 외장 SSD는 구조적으로 조금 다를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외장 SSD를 분리하여 내장 SSD처럼 사용할 수 있는지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2.1 외장 SSD의 유형에 따라 다르다

외장 SSD는 크게 두 가지 형태로 나뉩니다.

  • 케이스 안에 일반 SSD가 들어 있는 타입 – 일반적으로 2.5인치 SATA SSD 또는 M.2 NVMe SSD가 장착된 모델입니다. 이 경우 케이스만 분리하면 내장 SSD처럼 활용할 수 있습니다.
  • USB 컨트롤러가 직접 내장된 일체형 타입 – 일부 외장 SSD는 PCB 기판과 USB 인터페이스가 하나로 되어 있어, 분리해도 SATA 또는 NVMe 포트를 찾을 수 없습니다. 이런 경우 내장 SSD로 변환이 불가능합니다.

2.2 분리 가능 여부 확인 방법

외장 SSD를 내장 SSD로 사용할 수 있는지 확인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 제조사 사양 확인 – 제품 설명을 보면 어떤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는지 나와 있습니다. "내부 M.2 SSD" 또는 "SATA SSD"라고 명시된 경우, 변환이 가능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 분해 후 확인 – 외장 SSD의 케이스를 조심스럽게 열어 내부에 일반적인 M.2 NVMe, M.2 SATA, 또는 2.5인치 SATA SSD가 들어 있는지 확인합니다.

2.3 케이스 손상 위험

외장 SSD는 대부분 접착 방식으로 밀봉되어 있어 분해 과정에서 케이스가 손상될 수 있습니다. 특히, 일부 브랜드는 강력한 접착제를 사용하여 개봉이 어렵습니다. 따라서 분해할 경우 A/S 보증이 사라질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2.4 분리 후 사용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

내장 SSD로 변환하려면 분리 후 사용 가능한 인터페이스를 확인해야 합니다.

  • SATA SSD – 일반 2.5인치 SATA SSD로 분리될 경우, 데스크탑이나 노트북의 SATA 포트에 바로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 M.2 NVMe SSD – M.2 NVMe 형태로 분리되면, M.2 슬롯이 있는 메인보드에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 USB 전용 기판 – 내부가 USB 전용 기판이라면, 내장 SSD로 활용할 수 없습니다.

2.5 외장 SSD를 내장 SSD로 변환할 수 있는 대표적인 모델

다음과 같은 모델들은 외장 SSD를 분리하여 내장 SSD처럼 활용할 수 있는 사례로 알려져 있습니다.

  • 삼성 T5, T7 (일부 모델에서 M.2 NVMe SSD 사용)
  • WD My Passport SSD (내부 M.2 SSD 탑재)
  • SanDisk Extreme Portable SSD (구형 모델은 M.2 SATA SSD 포함)

그러나 최근 출시되는 모델들은 내부 설계를 변경하여 분리 후 내장 SSD로 사용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으므로, 구매 전에 반드시 확인해야 합니다.

결론적으로, 일부 외장 SSD는 케이스를 분리하면 내장 SSD처럼 사용할 수 있지만, 모든 모델이 가능한 것은 아닙니다. 따라서 구매 전 인터페이스와 내부 구조를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며, 무리한 분해는 기기 손상의 위험이 있다는 점을 염두에 두어야 합니다.

3. 분리 가능한 외장 SSD와 불가능한 모델

 

외장 SSD를 내장 SSD로 변환하려면 가장 먼저 확인해야 할 것이 분리 가능 여부입니다. 모든 외장 SSD가 쉽게 분리되어 내장 SSD로 활용할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제품마다 내부 설계와 인터페이스 방식이 다르기 때문입니다. 이번 섹션에서는 분리가 가능한 외장 SSD와 그렇지 않은 모델을 구별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3.1 분리 가능한 외장 SSD

내부에 표준 M.2 또는 2.5인치 SATA SSD가 포함된 모델은 일반적으로 분리 후 내장 SSD처럼 사용할 수 있습니다.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진 외장 SSD는 분리가 가능합니다.

  • 내부에 표준 SSD가 탑재된 모델 – M.2 NVMe, M.2 SATA, 또는 2.5인치 SATA SSD가 포함된 제품.
  • 나사 또는 간단한 클립 구조의 케이스 – 조립이 용이하고 손쉽게 해체할 수 있는 디자인.
  • USB to SATA 또는 USB to NVMe 컨트롤러가 별도로 존재 – SSD와 컨트롤러가 분리되어 내장 SSD로 활용 가능.

✔ 대표적인 분리 가능한 모델

  • 삼성 T5 SSD – 내부에 M.2 SATA SSD 사용 (일부 모델)
  • WD My Passport SSD – 내부에 M.2 NVMe SSD 포함
  • SanDisk Extreme Portable SSD (구형 모델) – 내부에 M.2 SATA SSD 탑재
  • Seagate Fast SSD – 2.5인치 SATA SSD 내장

3.2 분리 불가능한 외장 SSD

일체형 설계로 인해 분리 후 내장 SSD로 사용할 수 없는 모델도 많습니다. 이러한 SSD들은 기판 자체가 USB 컨트롤러와 통합되어 있어 분리해도 일반적인 SSD처럼 사용할 수 없습니다.

  • 컨트롤러가 SSD 기판과 직접 연결된 모델 – 내부에 M.2 또는 SATA 인터페이스가 존재하지 않고, USB 연결이 직접 이루어지는 제품.
  • 케이스가 밀봉된 일체형 디자인 – 분해가 어렵고 내부 SSD가 표준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 eMMC 또는 납땜 방식으로 설계된 제품 – 플래시 메모리가 기판에 직접 납땜되어 있는 모델.

❌ 대표적인 분리 불가능한 모델

  • 삼성 T7 SSD – 기판과 USB 컨트롤러 일체형
  • SanDisk Extreme Portable SSD (신형 모델) – 내부 USB 전용 컨트롤러 사용
  • Crucial X8 SSD – USB to NVMe 변환 칩이 내장된 일체형 기판
  • Seagate One Touch SSD – 내부에 표준 M.2 또는 SATA 인터페이스가 없음

3.3 분리 가능 여부 확인 방법

외장 SSD를 구매하기 전, 또는 사용 중인 제품을 내장형으로 활용하고 싶다면 아래의 방법으로 분리 가능 여부를 확인해 볼 수 있습니다.

  • 제조사 스펙 확인 – 제품 상세 정보를 보면 M.2 또는 SATA SSD가 내장되었는지 알 수 있습니다.
  • 유저 리뷰 및 분해 정보 검색 – "제품명 + 분해"를 검색하면 많은 사용자들이 개봉 후기를 공유하고 있습니다.
  • 케이스 형태 분석 – 나사로 조립된 형태인지, 밀봉된 일체형 디자인인지 확인해 봅니다.

3.4 외장 SSD를 내장 SSD로 변환 시 고려해야 할 점

외장 SSD를 성공적으로 분리하여 내장 SSD로 활용할 수 있다 해도, 몇 가지 중요한 점을 고려해야 합니다.

  • 펌웨어 문제 – 외장 SSD에 맞게 설정된 펌웨어가 적용되어 있어, 내장 SSD로 사용할 경우 성능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A/S 보증 무효 – 분해 시 제조사의 보증을 받을 수 없으므로 신중하게 결정해야 합니다.
  • 성능 차이 – 외장 SSD는 일반 내장 SSD보다 발열이 높을 수 있으며, 쓰기 캐싱 등의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일부 외장 SSD는 분리하여 내장 SSD처럼 사용할 수 있지만, 최근 출시된 많은 제품들은 USB 컨트롤러와 일체형으로 설계되어 있어 분해해도 활용이 불가능합니다. 따라서 구매 전 반드시 내부 구조를 확인하고, 내장형 SSD로 활용할 계획이라면 분리 가능한 모델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컴퓨터 전원을 본체 버튼으로 끄면 안 되는 이유 5가지

4. 외장 SSD를 내장 SSD로 변환하는 방법

반응형

외장 SSD를 내장 SSD처럼 활용하고 싶다면, 몇 가지 단계를 거쳐야 합니다. 모든 외장 SSD가 변환 가능한 것은 아니므로, 분리 가능한 모델인지 먼저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번 섹션에서는 외장 SSD를 안전하게 분해하고, 내장 SSD로 변환하는 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4.1 외장 SSD 변환 가능 여부 확인

외장 SSD를 내장 SSD로 변환하려면 먼저 내부 구조를 확인해야 합니다. 다음 조건을 충족하면 변환이 가능합니다.

  • 내부에 M.2 NVMe, M.2 SATA 또는 2.5인치 SATA SSD가 탑재되어 있는 경우
  • USB 컨트롤러가 분리 가능한 별도의 기판으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
  • 케이스가 밀봉되지 않고 나사 또는 클립 방식으로 조립된 모델

위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모델은 분해해도 내장 SSD로 활용할 수 없으므로, 반드시 확인 후 진행해야 합니다.

4.2 외장 SSD 분해하기

변환 가능한 모델이라면, 이제 조심스럽게 외장 SSD를 분해해야 합니다.

  • 나사 방식 – 나사로 조립된 경우, 작은 드라이버를 사용하여 나사를 제거하고 케이스를 분리합니다.
  • 클립 방식 – 클립으로 고정된 모델은 플라스틱 헤라나 얇은 도구를 사용하여 틈을 벌려야 합니다.
  • 접착 밀봉 방식 – 일부 외장 SSD는 접착제로 밀봉되어 있으며, 이 경우 분해 과정에서 케이스가 손상될 가능성이 큽니다.

분해 후 내부에 표준 M.2 또는 SATA SSD가 있는지 확인합니다.

4.3 적절한 인터페이스 어댑터 준비

내부 SSD의 인터페이스에 따라 변환에 필요한 어댑터나 슬롯이 다릅니다.

  • M.2 NVMe SSD → 데스크탑 또는 노트북의 M.2 슬롯에 직접 장착
  • M.2 SATA SSD → M.2 SATA 슬롯이 있는 메인보드에 장착하거나 SATA 어댑터 사용
  • 2.5인치 SATA SSD → SATA 포트에 바로 연결 후 전원 공급

일부 노트북은 NVMe 또는 SATA 인터페이스를 지원하지 않을 수도 있으므로, 호환성을 먼저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4.4 SSD를 내장형으로 장착하기

이제 분리한 SSD를 데스크탑 또는 노트북에 장착하는 과정입니다.

  • 데스크탑: M.2 슬롯 또는 SATA 포트에 장착 후 고정 나사를 조입니다.
  • 노트북: M.2 또는 SATA 슬롯을 찾아 SSD를 삽입하고 고정합니다.

장착 후, BIOS에서 인식되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인식되지 않는다면, BIOS에서 SSD 설정을 변경하거나 슬롯을 다시 확인해야 합니다.

4.5 SSD 포맷 및 설정

새롭게 장착한 SSD가 정상적으로 작동하려면, 운영체제에서 포맷 작업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1. Windows: 디스크 관리(Disk Management)에서 새 드라이브를 포맷
  2. Mac: 디스크 유틸리티(Disk Utility)에서 포맷 후 마운트
  3. Linux: GParted 또는 터미널에서 fdisk를 사용하여 파티션 설정

포맷할 때는 NTFS(FAT32) 또는 exFAT으로 설정하면 Windows와 Mac에서 모두 인식할 수 있습니다.

4.6 변환 후 성능 테스트

SSD를 정상적으로 변환한 후, 성능 테스트를 진행하여 문제없이 작동하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 CrystalDiskMark – Windows에서 속도 측정
  • Blackmagic Disk Speed Test – Mac에서 성능 테스트
  • SMART 검사 – SSD의 건강 상태 점검 (HDD Sentinel, Samsung Magician 등 활용)

이 과정에서 속도가 정상적으로 나오지 않거나 오류가 발생하면, 펌웨어 업데이트 또는 BIOS 설정 변경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주의할 점

외장 SSD를 내장 SSD로 변환할 때 주의해야 할 사항이 몇 가지 있습니다.

  • A/S 보증 소멸 – 외장 SSD를 분해하면 제조사의 보증을 받을 수 없습니다.
  • 펌웨어 호환성 – 일부 외장 SSD는 내장형으로 사용할 경우 성능 제한이 있을 수 있습니다.
  • 발열 문제 – 외장 SSD는 내부적으로 냉각을 고려하여 설계되었으므로, 내장 시 발열 관리를 신경 써야 합니다.

결론적으로, 외장 SSD를 내장 SSD로 변환하는 것은 가능하지만, 모든 모델이 해당되는 것은 아닙니다. 변환을 시도하기 전에 모델별 분해 가능 여부를 반드시 확인하고, 적절한 인터페이스와 호환성을 고려하여 장착해야 합니다.

5. 외장 SSD를 내장 SSD로 사용할 때 주의할 점

외장 SSD를 분리하여 내장 SSD로 변환하는 것이 가능하더라도, 사용 시 몇 가지 주의해야 할 사항이 있습니다. 내장 SSD와 외장 SSD는 기본적으로 설계 목적이 다르기 때문에, 성능이나 안정성에서 예상치 못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번 섹션에서는 외장 SSD를 내장 SSD로 사용할 때 반드시 고려해야 할 사항을 정리해 보겠습니다.

5.1 인터페이스 호환성 확인

외장 SSD를 분리했을 때, 내부 SSD가 어떤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는지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M.2 NVMe SSD – PCIe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는 M.2 슬롯이 필요
  • M.2 SATA SSD – M.2 슬롯이 있지만 SATA 전용 포트만 지원하는 경우 사용 가능
  • 2.5인치 SATA SSD – 일반적인 SATA 포트에 연결하여 사용 가능

노트북이나 데스크탑이 지원하는 인터페이스를 먼저 확인하지 않으면, SSD를 장착하더라도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5.2 SSD 인식 문제

외장 SSD에서 분리한 SSD가 내장 SSD로 인식되지 않는 경우도 있습니다. 주요 원인은 다음과 같습니다.

  • BIOS에서 SSD가 비활성화됨 – BIOS에서 해당 M.2 또는 SATA 포트가 활성화되어 있는지 확인 필요
  • 포맷 방식이 다름 – macOS 또는 Linux에서 사용하던 SSD는 Windows에서 바로 인식되지 않을 수 있음
  • 부트 가능 여부 – 일부 외장 SSD는 부팅 드라이브로 사용할 때 문제가 발생할 수 있음

이러한 문제가 발생하면, SSD를 다른 장치에서 테스트해 보거나 포맷 후 다시 시도해 보는 것이 좋습니다.

5.3 펌웨어 및 성능 제한

외장 SSD는 기본적으로 USB 인터페이스에 최적화되어 있으며, 내장 SSD처럼 사용할 경우 성능이 저하되거나 일부 기능이 비활성화될 수 있습니다.

  • 외장 SSD 전용 펌웨어 문제 – 일부 모델은 내장 SSD로 사용 시 속도가 제한될 수 있음
  • DRAM 캐시 여부 – 외장 SSD는 DRAM 캐시가 없는 경우가 많아, 대용량 파일 전송 시 속도 저하 발생
  • 쓰기 수명 단축 – 외장 SSD는 발열 관리가 덜 되어 있어, 지속적인 사용 시 수명이 빠르게 줄어들 가능성 있음

따라서, 외장 SSD를 내장 SSD로 장기간 사용할 계획이라면, 제조사에서 제공하는 펌웨어 업데이트가 가능한지 확인해야 합니다.

5.4 발열 관리 필요

외장 SSD는 보통 열을 효과적으로 분산할 수 있도록 설계된 알루미늄 케이스에 들어 있습니다. 하지만 이를 분리하여 내장 SSD로 사용하면, 발열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M.2 SSD의 경우 방열판 필수 – NVMe SSD는 고속 데이터 전송 시 온도가 70~80℃까지 상승할 수 있음
  • 노트북 내부 공기 흐름 확인 – SSD가 과열되지 않도록 충분한 환기가 필요
  • 방열 패드 또는 서멀 패드 사용 – 추가적인 냉각 장치를 활용하면 안정성 향상

특히, 고성능 NVMe SSD를 사용하려면 방열판을 부착하는 것이 필수적입니다.

5.5 A/S 및 보증 문제

외장 SSD를 분해하는 순간, 대부분의 제조사 보증(A/S)이 무효화됩니다. 따라서, 분해 전에 반드시 고려해야 할 점이 있습니다.

  • 제조사 정책 확인 – 삼성, WD, SanDisk 등은 외장 SSD 분해 시 보증이 즉시 종료됨
  • 고장 발생 시 수리 불가 – 분해 중 기판이 손상되면 복구가 불가능할 수도 있음
  • 대체 저장장치 준비 – SSD가 인식되지 않거나 문제가 발생할 경우를 대비해 백업 드라이브를 마련

만약 아직 보증 기간이 남아 있다면, SSD를 분리하지 않고 케이스만 교체하는 것이 더 나은 선택이 될 수도 있습니다.

5.6 내장 SSD로 장기간 사용 가능할까?

외장 SSD를 내장 SSD로 장기간 사용해도 될까요? 이론적으로는 가능하지만, 몇 가지 한계점이 있습니다.

  • USB 전용 설계로 인해 내구성이 낮을 수 있음
  • 일부 외장 SSD는 성능이 내장 SSD보다 낮게 설정되어 있음
  • 발열과 전력 소비가 최적화되지 않음

따라서, 단기적인 해결책으로는 가능하지만, 장기적으로는 내장 SSD를 따로 구매하는 것이 더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선택이 될 수 있습니다.

외장 SSD를 내장 SSD로 변환하여 사용할 수 있지만, 몇 가지 주의해야 할 사항이 있습니다. 가장 중요한 점은 인터페이스 호환성, 발열 관리, 펌웨어 호환성, 그리고 보증 문제입니다. 특히, 최신 외장 SSD 모델은 내부 설계가 일체형으로 되어 있어 변환이 불가능한 경우가 많습니다.

결과적으로, 장기적인 스토리지 솔루션을 고려한다면, 외장 SSD를 내장 SSD로 변환하는 것보다는 처음부터 내장 SSD를 별도로 구매하는 것이 더 나은 선택일 수 있습니다.

가장 많이 찾는 글

 

중고 PC를 구입할 때 반드시 확인해야 할 7가지 사항

중고 컴퓨터 구매 시 후회하지 않으려면 꼭 체크해야 할 점중고 PC를 구매하는 것은 예산을 절약하면서도 괜찮은 성능의 컴퓨터를 얻을 수 있는 좋은 방법입니다. 하지만 제대로 확인하지 않으

it.rushmac.net

 

라이젠 3급, i3 급 CPU로 사무 작업과 멀티미디어 활용 가능할까?

라이젠 3 & i3 CPU, 사무 작업과 엔터테인먼트 활용 적합성 분석노트북을 구입할 때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가 바로 CPU입니다. 특히, 라이젠 3급이나 인텔 i3급 CPU를 탑재한 노트북을 고려하는 경

it.rushmac.net

 

고사양 게임에서 그래픽카드의 비중은 몇 %일까?

게임 성능을 좌우하는 그래픽카드의 중요성요즘 출시되는 게임들은 화려한 그래픽과 실사 같은 비주얼을 자랑하며, 이러한 게임을 원활하게 즐기려면 고사양의 하드웨어가 필수적입니다. CPU, R

it.rushmac.net

결론

외장 SSD의 경우 일부 모델은 케이스를 분리하면 일반적인 M.2 또는 2.5인치 SSD로 변환할 수 있어 내장 SSD처럼 사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일부 모델은 케이스와 일체형이거나, 내부적으로 USB 전용 컨트롤러가 사용되어 분리 후 바로 활용하기 어려울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외장 SSD를 내장 SSD로 변환하려면 먼저 해당 모델이 분리가 가능한지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반응형

댓글